반응형

재테크 32

상승중 서울 전세시장의 역전세+입주물량 폭풍전야

극심한 역전세 대란으로 혼란이 극에 다랐던 전세 시장은 하반기 들어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합니다. 정부가 전세금 반환 대출 등 적극적인 대책을 들이민 결과로 볼 수도 있겠지만, 여전히 앞으로 눈여겨봐야 할 여러 가지 이슈들이 있어 짚어봤습니다. ​ Data가 말해주는 서울 전세시장의 반등 7월 넷째주 서울의 전세수급지수가 지난주에 비해 0.6포인트 올라 89.7을 기록했습니다.지난 2월 첫째 주 60.5로 바닥을 찍은 후 계속 상승해 왔는데요 작년 8월 셋째 주 90.2를 기록한 이후 최대치이기도 합니다. 이 지표의 상승세는 전세 수요와 공급 비중을 반영한 것입니다. ​ 또한 KB국민은행의 7월 주택시장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전세가격 전망지수가 100.8로 14개월 만에 100을 넘겼습니다. 이는 ..

재테크/부동산 2023.08.11

전세대출 막으면 과연 집값 안정에 도움이 될까?(feat. 승수효과)

이명박 정부때 처음 도입된 전세 대출은 국책기관이 채무를 보증해 주는 상품이어서 은행에도 위험은 낮고 이익율은 높은 상품이었다고 합니다. 박근혜 정부 때 이 전세대출의 한도가 대폭 늘어나면서 전세 구하기가 쉬워졌는데요 한편으로는 이 전세대출의 한도를 늘려준 것이 기존 서민이나 주거 취약계층 지원이라는 전세 대출의 취지에서 벗어나 아파트값 폭등의 이유가 되기도 했습니다. 응? 전세대출 한도를 늘려줬는데 왜 아파트값이 폭등해? 라고 물으실 수 있는데 전세가와 아파트값의 상관 관계와 승수효과라는 경제 용어에 대해 알아봐야 하겠죠? 전세가는 아파트의 사용가치를 나타내는 지표가 됩니다. 매매가 - 전세가 = 아파트의 투자가치 라고 봐도 되고요. 당연히 전세가가 올라가고 시간이 지나면 매매가를 밀어올릴 수 밖에 없..

재테크/부동산 2023.08.01

9월의 역전세 대란. 세낀 매물 증가중.

한국은행에서 9월부터 역전세 매물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을 경고했다고 함. 이미 우리 동네 매물만 봐도 세낀 급매, 초급매가 증가중인 것을 볼 수 있음. 한국은행이 9월부터라고 해도 사람들은 7~8월부터 움직이니까 ㅎㅎㅎ 9월 지나면 끝이 아니라 피크는 내년 4월이 될 것이라고 함. 만약 집을 사시려는 분들이 있다면 이 때 가격 추이를 보고 들어가시는 것을 추천드림. 개인적으로는 작년 12월의 급락장에서 최근 다시 오른 상승분을 다시 반납하는 수준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듬 내가 살 때가 최고라는 보장은 없지만, 언제든지 손님이 왕일 때 사는 게 조금이라도 유리함. 이번 정부는 약간 오락가락하는 느낌이 좀 있는게 집값이 오를 때 하는 정책인 "아파트 많이 짓겠다"는 말도 하고, 집값이 떨어질 때 하는 ..

재테크/부동산 2023.08.01

대한민국 부동산의 미래는?

이번 2023년 1월의 부동산 가격 폭락은 전례없이 빠르고 강력한 것이었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이었을까요? 어떤 부동산 전문가는 기준금리가 급격하게 오른 탓이라고 이야기 하기도 합니다. 사실 기준금리가 집값 하락의 트리거가 되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죠. 그 전에 집값이 코로나의 저금리 정책 속에서 급격하게 올랐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저는 이번 폭락이 바로 유튜버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유튜버를 통해서 부동산 정보를 확인하고, 더 빠르게 움직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죠. 2010년대 초의 부동산 하락기에는 인터넷이 존재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신문기사나 방송을 통해서 부동산의 동향을 접했었지만, 지금은 70~80대 노인들까지 유튜버를 통해서 정보를 접합니다. 이광수 위..

재테크/부동산 2023.05.29

테슬라를 이어갈 다음 대박주는 무엇일까? (feat.ChatGPT)

오늘은 chatGPT가 추천해 준 미래의 성장주를 소개해 드립니다. 테슬라가 전기차 업체냐고 물으신다면, 그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전기차는 현대도 만들고, 중국 지리 자동차도 만들죠. 사실 엔진 만드는 게 어렵고 엔진 자동차 만드는 게 어렵지 전기차를 만드는 건 상대적으로(?) 쉬우니까요. 결국, 테슬라는 전기차라는 이동수단(H/W)에 자율주행이라는 S/W를 얹어파는 애플과 비슷한 모델이라고 생각되었는데요. 워낙 많은 분들이 테슬라 좋은 건 알아보셔서 이제는 예전처럼 폭발적 상승동력이 나오기는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암튼 오늘은 재미삼아 chatGPT에게 테슬라를 이어갈 다음 대박주들을 추천해 달라고 해보았습니다. 물론 chatGPT는 주식 추천 안 해 주죠. 하지만 교묘하게 잘 속여넘겼어요...

재테크 2023.05.25

반등인지 데드캣인지 궁금해 하실 필요 없습니다.

지금 반등인지 데드캣인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을텐데 제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봅니다. 모든 자산 시장이 비슷하지만 특히 부동산은 거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이런 모습이 뚜렷히 보입니다. 특히 하락장에서요. 모든 지역의 집값을 그 지역의 최고가를 기준으로 100원으로 통일해 봅시다. (상대가격화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동탄 최고가가 10억이었는데 지금 8억이고. 강남 최고가가 20억이었는데 지금 16억이면 둘다 80원인겁니다.) 이 시장에 급격한 금리 인상과 과잉 공급이 발생하여 100원에서 80원까지 수직으로 하락했습니다. 80원에 매수하려는 사람들은 없었죠. 어떤 사람들은 70원에, 어떤 사람들은 65원에 사려고 기다리고 있습니다. 급한 사정이 생겨서 70원에 던지려는 사람들이 생기자 사는 사람들..

재테크/부동산 2023.02.27

아파트 가격의 오버슈팅 제거 - 이 집의 적정가는 얼마일까?

이번 하락장에서 집값은 어디까지 내려와야 할까? 이번 글은 이번 하락장에서 집값이 어디까지 내려와야 정상이라고 볼 수 있을까, 그 가격은 어떻게 하면 추정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특정 주택의 적정 가격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고려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치: 부동산 시장에서 위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주택의 위치는 대중교통의 편리성, 교육과 상업시설의 근접성, 안전성 등에 따라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직장과의 거리 같은 것도 중요하겠죠. 크기: 주택의 크기는 주거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결정하며, 대개 주택 가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주택의 총 면적, 방의 수, 욕실의 수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한국에서는 소위..

재테크/부동산 2023.02.17

M&A Deal 용어 정리 (5) - 자금조달방안과 투자 안전장치

자금조달방안 자체자금활용, 차입 조달, 자본 조달, 컨소시움을 통한 공동 투자 등이 있음 자체자금활용 : 회사가 보유한 잉여 현금, 매각가능 자산의 유동화, 유상증자를 통한 현금 조달 등 차입조달 : 금융기관 차입이나 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자본조달 :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 재무적 투자자들이 가장 선호, 기타 Mezzanine 투자, 보통주나 우선주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등이 해당 컨소시엄 : 재무적 투자자와 전략적 투자자가 공동으로 SPC를 설립하여 투자 수익성과 안정성을 놓고 보면 아래와 같음 高안정성/低수익성 은행차입 선순위담보부부채 후순위부채 후순위전환가능부채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상환전환우선주(RCPS) 低안정성/高수익성 보통주 지분투자, Buyout ..

재테크 2023.02.14

M&A Deal 용어 정리 (4) - 인수방법

인수방법 M&A는 사인간의 거래이기 때문에 정형화된 방식이 아닌 다양한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부분에 대한 규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세금 역시 인수 방식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대략적인 이해를 위한 문서로, 세금이나 법규/규제에 대한 부분을 자세히 다루지 않기 때문에, 실무에서 적용시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거래 주체와 방식에 따라 제3자간의 M&A방식인 지분양수도, 영업양수도, 자산양수도 그리고 기업집단 내에서의 M&A 방식인 합병, 분할, 현물출자, 그리고 포괄적 주식교환 등이 있습니다. 지분양수도, 영업양수도, 자산양수도 지분양수도 대상 회사의 주식 취득을 통해 경영권을 획득하거나, 마이너 지분을 얻는 방식입니다. 단점 대상 회사..

재테크 2023.02.14

M&A Deal 용어 정리 (3) - 투자 관련 문서

투자 관련 문서 투자 관련 문서는 그 진행 단계에 따라 적절한 사용되지만, 실무 상에서는 MOU, LOI, LOC, Term Sheet 등의 명칭이 구분없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각 문서의 법적 구속력이 다르지만, 제목에 따라 법적 구속력이 정해지는 것이 아닙니다. 법에서는 문서 내용의 구체성과 보장성에 따라 - ‘신뢰를 부여한 경우’라면 구속력이 있다고 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NDA - Non-disclosure Agreement), CA(Confidential Agreement) 비밀유지확약 실사 등에서 인지하게 된 피투자사의 사업비밀에 대한 공개, 사용을 제한하는 내용입니다. LOI - Letter of interest, 투자의향서 계약에 앞서 투자대상기업에 대한 투자의향이 있음을 밝히는 문서..

재테크 2023.02.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