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부동산

대한민국 부동산의 미래는?

오빵호빵 2023. 5. 29. 23:09


이번 2023년 1월의 부동산 가격 폭락은 전례없이 빠르고 강력한 것이었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이었을까요?

어떤 부동산 전문가는 기준금리가 급격하게 오른 탓이라고 이야기 하기도 합니다.
사실 기준금리가 집값 하락의 트리거가 되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죠.
그 전에 집값이 코로나의 저금리 정책 속에서 급격하게 올랐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저는 이번 폭락이 바로 유튜버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유튜버를 통해서 부동산 정보를 확인하고, 더 빠르게 움직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이죠.

2010년대 초의 부동산 하락기에는 인터넷이 존재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신문기사나 방송을 통해서 부동산의 동향을 접했었지만,
지금은 70~80대 노인들까지 유튜버를 통해서 정보를 접합니다.

이광수 위원이나 쇼킹부동산 같은 유튜버들이 지속적으로 집값 하락을 경고했지만,
그 당시에는 약간 헛소리처럼 치부되었던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집값의 급격한 하락을 목도했고
그 다음은 어디로 갈 지 궁금해 하고 있죠.

저는 개인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예전처럼 다시 급격하게 오르거나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기준금리는 하락할 것이고 집을 살 수 있는 여력은 좋아지겠지만
우리나라에는 부동산 가격의 상승을 막는 가장 큰 걸림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소득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빈부 격차가 커지고, 공장은 자동화되고, 서비스 업종도 자동화되면서
사람의 노동력의 가치가 가지고 있는 가치가 줄고 있어요.

최저임금은 지난 몇 년간 전례없이 급격하게 올랐고,
코로나 시기에 일부 IT 근로자의 임금도 급격하게 상승했지만
대다수의 근로자들의 임금은 (물가 상승률을 감안할 때) 그대로거나 하락한 것이 팩트입니다.

산업화 시기를 거치면서 각 가계는 부족한 수입을 맞벌이를 통해 채우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일자리 자체가 줄어버려서 맞벌이 자체도 쉽지 않게 되었죠.
혼인 연령이 늦어지고, 비혼이 증가하는 이유도 바로 이러한 것에 기인하고요.

시간이 지날 수록
ChatGPT나 StableDiffusion으로 대표되는 AI혁명이
많은 일자리를 사라지게 만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예를 들면, 고객 상담사(C/S)나 저숙련 디자이너 같은 업종에서요.

또 다른 하나는, 인구 감소입니다.
15년 뒤면 대한민국의 실질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특히, 지금 주택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세대 중 하나인
베이비붐 세대들이 한계 수명에 도달하는 시점도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죠.

처음에 언급했던 유튜브를 통한 빠른 정보의 확산 때문에
실질 인구가 감소하기도 전에 아파트 가격은 무너지기 시작할 것입니다.

물론, 지방부터죠. 서울은 가장 마지막일 것이고요.

그러나, 서울도, 강남도 이 붕괴에서는 자유롭지 못할 것입니다.
강남의 상승이 경기도를 거쳐 지방 대도시들까지 부동산 훈풍을 불게 했다면
지방에서 올라온 하락의 광풍은 경기도를 거쳐 강남까지 끌어내리게 될 것이니까요.

앞으로 70~80대들이 어떤 형태로든 주택을 자녀들에게 물려주기 시작할 것입니다.
상당히 많은 수의 자녀들이 혜택을 보겠지만,
이는 반대로 주택을 거래하려는 수요가 줄게 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지금부터는 정말 투자로(상승을 기대하면서) 부동산을 구매하시려는 분들은 모두가 오랫동안 원할 곳을
구매하시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험할 수 있겠지요.

집은 점점 투자하는 곳이 아닌 살기 위한 곳이 되어 갈 것 같습니다.

물론, 입지 좋은 곳에 있는 대단지 새 아파트는 20년 뒤에도 누구나 원하겠지요.

ㅎㅎㅎㅎ

그럼 저의 생각이니 참고만 하시고,
모두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반박시 님의 말이 맞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