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테크/부동산 23

전세계약 1년 남았는데 전세금을 깍아 달라고? 증감청구권 이야기

오늘 이야기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제7조 차임 등의 증감청구권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최근 아파트 매매가와 전세가가 동시 폭락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금통위에서 0.5% 기준금리 인상, 소위 빅스텝을 단행했는데요. 기준금리가 계속 올라가면서 전세 대출을 통해 전세에 거주하고 있는 세입자의 이자 부담이 엄청나게 늘고 있습니다. 그러니, 집주인이 자금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전세 대신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고요.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건이 아닌데도 이미 2년 전 전세가격 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용인 수지의 한 아파트 단지의 경우, 불과 몇 달 전 6.5억에 거래되었던 전세가가 최저 호가 기준 4.9억까지 떨어졌습니다. 이 금액은 2020년 초 거래가보다 낮은 수준인데요. 이런 상황이다 보니, 같은 ..

재테크/부동산 2022.10.12

이번 부동산 폭락은 어디까지 갈 것인가?

부동산 폭락세가 예사롭지 않습니다. 분명 올해 초까지만 해도 부동산 가격이 계속 오를 것으로 예측했던 언론들이 이제 폭락에 대해 걱정하는 기사를 쏟아내기 시작했습니다. 2011년 때와는 다르게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도 가파르고, 우리나라의 소득 대비 부동산 구입 가능 기간 지수인 PIR도 유례없이 높은 상황이라 그 폭락의 폭이 더 클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KB부동산에서 발표하는 PIR 지수를 보면 2018년까지 서울 기준 10배 언더에서 머물던 PIR지수가 그 이후에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22년 2분기 기준 서울의 PIR 지수는 14.8배까지 뛴 것을 보실 수 있는데요. 상황이 이렇다보니, 새로운 정부의 국토부 장관인 원희룡 장관도 지금보다 30~40% 정도 ..

재테크/부동산 2022.10.04

금리 인상기에 부동산이 하락하는 과정

오늘은 부동산 이야기를 좀 해 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금리는 상승할 때가 있고, 하락할 때가 있습니다. 나라의 경제상황이나 시중에 돈이 풀리는 정도, 물가 등을 조절하기 위해 중앙은행은 기준 금리를 올리거나 내리면서 시장을 조정합니다. 또한, 우리 나라는 미국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미국 기준금리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아래는 같은 기간 미국 기준금리의 변천 그래프입니다. 우리나라의 금리가 미국의 금리보다 낮은 상황이 발생하면 외환 유출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한국에 투자했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에서 투자금을 빼서 미국으로 투자를 한다는 얘깁니다.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다양한 영역에 있던 외국인들의 투자금이 빠져나가게 되면 원화가치 하락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지난 2008년 ..

재테크/부동산 2022.09.14
반응형